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caico
- 미네르바 대학
- 토익문법
- arXiv
- TOPCIT
- 아이엘츠
- students@ai seoul hackathon
- pip
- 크롬 확장프로그램
- 토익공부법
- 논문 pdf 이름
- toeic
- 토익
- minerva university
- 코드프렌즈
- 데이터분석
- 토익공부
- ai consensus
- pdf 다운로드
- 논문 pdf
- ai model collapse
- 탑싯시험
- 토익문제
- 데이터관련자격증
- ADsP
- cv2
- model collapse
- ai공모전
- 환급형프론트챌린지
- 탑싯
- Today
- Total
토리의 데굴데굴 공부일기
Students @AI Seoul Hackathon 참여 후기 (Insight 공유) 본문
안녕하세요
바로 어제 끝난 따끈따끈한 Students @AI Seoul Hackathon 참여 후 Insight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Students@AI - Seoul Hackathon 정보
Students @ AI - Seoul Hackathon · Luma
🚀 Join Seoul’s biggest international hackathon in 2025, where students, young professionals, and industry leaders come together to shape the future of…
lu.ma
행사 주최 - AI Consensus
AI Consensus는 Minerva 대학의 AI 단체입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해보자면, Minerva University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대학으로 불려집니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acceptance rate가 낮은 (<0.1%) 대학으로도 유명하고요. Minerva 대학의 학생들은 재학 기간동안 총 6개의 도시( 샌프란시스코, 서울특별시, 타이페이, 베를린, 부에노스 아이레스, 하이데라바드, 도쿄)에서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살면서 공부합니다. 즉, 대학 캠퍼스가 없어요. 그래서 제가 직접 제 팀원 친구들한테 물어보니까, 'No, we have campus. The city is our campus!!!' 이러더라고요. 도시가 자신의 캠퍼스라고 말하는게 참 인상깊었어요.
TMT의 인사이트👀💬
굉장히 인상깊었던 점이 많았는데, 그냥 생각나는대로 써보겠습니다.
1. 논리적인 의견 표현
미네르바 학생들과 대학은 모든 수업 전마다 Pre-class material이 있는 것 같았어요. 수업 전에 학생들이 읽거나 보거나 생각해봐야하는 숙제가 있고, 수업은 보통 학생 참여형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미네르바 학생들이 '본인의 생각을 분명하게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엄청나게 강점이 있었습니다. 본인 의견을 내는 것에 두려움이 없어요. 상대방의 의견이 본인의 것과 달라도 다른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어요. 반면에 한국 학생들은 Good listner이긴 하지만, Good speaker가 되는 훈련이 안되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저도 그렇구요. 한국 교육에 본인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것, 틀려도 괜찮으니 일단 말해보는 훈련이 포함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본인의 의견을 표현하고,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능력은 분야를 막론하고 정말 중요한 부분이니까요.
2. Pitch를 흥미롭게
대회의 마지막은 항상 발표입니다. 하지만 많은 팀들의 발표를 듣다보면 지루해지고 집중력을 잃기 마련입니다. 그러니 최대한 흥미롭게 발표를 구성하세요. 아무리 잘 만든 Product가 있어도 Pitching때 아무도 내 발표를 듣지 않는다면 말짱 꽝이니까요. Pitch는 사람들이 들어야 의미가 있는겁니다. 재미없는 발표는 솔직히 누구라도 듣기 싫잖아요. 그러니 최대한 관객 참여형으로 흥미롭게 Pitch를 구성하세요.
3. 외국 학생들은 Networking에 진심이다
작년 ECCV 학회에서도 느낀건데, 한국 학생들은 (특히 한국인들끼리 모여서 event에 참여하면) 한국 학생들끼리만 얘기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한국 특유의 '나대는 사람을 싫어하는 문화'가 있어서 그런 것 같은데.. 좀 나대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Networking하는건 절대 나대는게 아니에요. 기회가 있을때 더 다양한 사람과 대화하고 networking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저도 외국 학생들과 더 networking 하고싶어 일부러 solo로 신청하고 외국분들만 있는 팀으로 들어갔습니다. 기회는 올때 잡는게 아닙니다. 기회는 본인이 스스로 찾고 만들어나가야 하는 겁니다.
4. 외국 학생들은 본인의 프로젝트를 실제로 Business화 하려고 한다
저는 이런 대회를 나가면서 한번도 내가 지금 만든걸로 창업해서 수익화하고 실제로 서비스를 운영해야겠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제 팀원들은 저희팀의 서비스가 좋다고 생각해서 실제로 이걸 팔고 싶어했어요. 마지막에 저희 팀은 프로토타입을 가지고 해커톤에 다른 참여자분께 User Interview를 진행했습니다. 그분이 실제로 저희의 프로토타입을 사용해보시고 이 서비스 너무 좋고, 본인의 Boss도 이런 서비스 원하고 있었다고 말하셨습니다. 그러자 저희팀 조장님은 그럼 자기를 Boss랑 연결시켜줄 수 있냐고 물어보더라구요. 저는 그거보고 솔직히 놀랐습니다. 위의 3번과 이어지는데, 정말 기회를 잘 찾아나선다고 생각했어요. 여러분들도 좋은 아이디어의 프로젝트가 있다면 이를 실제로 Business화 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세요!! 생각치도 못하게 좋은 기회가 생길수도 있잖아요😆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
좋은 행사 기획해주신 AI Consensus 측에게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멋진 행사의 일부가 될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
'대외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희대 인공지능학과 1기 재학생의 정보글 (컴공vs인공지능 / 졸업 후 진로) (3) | 2024.07.12 |
---|---|
[ ADsP ]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자격증 2주 공부 합격 후기 (0) | 2024.07.08 |
[ TOPCIT ] 내가 공부하려고 정리했던 탑싯 시험 정보 & 도움되는 사이트 모음 (0) | 2024.06.16 |
제 1회 SCAICO 수도권 연합 인공지능 경진대회 대상 후기 (4) | 2024.03.30 |